본문
폰테크 1990년대 브릿팝 시대가 있었다. 블러와 오아시스에 스웨이드와 펄프를 합쳐 브릿팝 ‘빅4’라고 한다. 넷 중 앨범 판매량에 기반한 인지도 1위는 오아시스다. 국내 인기 역시 나머지 셋을 압도한다.
2006년 첫 내한 전, 노엘 갤러거와 일대일로 인터뷰했다. 오래전이라 희미하지만 하나만은 기억한다. 새 앨범 빼고 최고작은 무엇이냐? 그는 이렇게 말했다. 1집. 예상치 못한 대답이라 다시 한번 확인했다. 2집 아니고? 그의 주장은 확고했다. 1집.
2집 <모닝 글로리(Morning Glory)?>는 오아시스의 최대 히트작이다. 어디선가 들어봤을 ‘돈 룩 백 인 앵거(Don’t Look Back in Anger)’를 비롯해 ‘원더월(Wonderwall)’ ‘샴페인 슈퍼노바(Champagne Supernova)’ 등의 히트곡이 터졌다.
그러나 1집 앨범 <데피니틀리 메이비(Definitely Maybe)>는 오아시스 그 자체다. 젊고, 도발적이다. 패기가 넘친다. 앨범 전체에서 조금도 타협하지 않겠다는 야심 같은 게 느껴진다. 리엄 갤러거의 보컬은 또 어떤가. 저렇게 허리 굽힌 채 생목으로 질러대면 성대 나가지 않겠냐고 되묻지 마라. 내 몸은 내가 알아서 챙긴다. 평범한 인간은 오지도 않은 미래를 걱정하며 살지만, 로큰롤 스타는 다르다. 로큰롤 스타는 오직 오늘만 산다.
수록곡 중 ‘슈퍼소닉(Supersonic)’, 그리고 무엇보다 ‘로큰롤 스타(Rock ‘N’ Roll Star)’가 증명한다.
단지 음악만은 아니다. 재개봉한 다큐멘터리 <슈퍼소닉>(사진)에서 리엄 갤러거는 말한다. 좋은 밴드는 음악만으로는 안 돼. 재미가 있어야 한다고. 우린 둘 다 갖춘 훌륭한 밴드지. 그렇다. 음악은 기본에 거침없는 언행이 더해져 통쾌함을 선물했다고 볼 수 있다. 진정한 슈퍼스타는 음악만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음악 외에 그 누구와도 다른 개성을 갖춰야 슈퍼스타 반열에 오를 수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요르단강 서안지구를 두 동강 낼 정착촌 건설 합의안에 11일(현지시간) 서명하며 팔레스타인 국가는 절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스라엘 국방부 산하 민정행정고등계획위원회는 ‘E1’으로 불리는 요르단강 서안 지역에 주택 3400호 정도를 건립하는 계획을 승인했다.
유대인 정착촌이 이같이 확장되면 이스라엘은 기존의 대형 정착촌인 알레아두밈과 예루살렘을 연결해 예루살렘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한다. 반면 팔레스타인은 미래의 독립국 수도로 삼는 동예루살렘에서 영향력을 잃는 데다가 영토가 지리, 경제적으로 분할되게 된다.
네타냐후 총리는 이날 알레아두밈 정착촌을 찾아 팔레스타인 국가는 절대 없을 것이라며 우리의 유산, 우리의 땅, 우리의 안보를 수호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기에는 요르단강 서안을 병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극우 성향의
분트 베잘렐 스모트리히 재무부 장관이 동행했다. 스모트리히 장관은 지난달 E1 정착촌 건설을 승인하면서 팔레스타인 국가가 슬로건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사라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제사회는 이스라엘이 1967년 전쟁으로 점령한 E1 지역에 자국민 정착촌을 확대하는 계획을 국제법 위반으로 보고 반대해왔다.
이스라엘은 1990년대부터 E1 정착촌 확장안을 논의해왔는데 2012년, 2020년 시도는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의 반대로 무산됐다.
네타냐후 정권의 이번 조치는 가자지구 전쟁이 격화하면서 이스라엘이 국제적으로 점점 고립되는 상황에서 나왔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북부 인구 밀집 지역인 가자시티에 주민 전체 대피령을 내리며 대규모 지상군 투입을 앞두고 있다.
이스라엘은 지난 9일 하마스 지도부 암살을 명분으로 휴전 협상 중재국인 카타르를 공습해 국제사회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았다.
국제사회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두 국가 해법’(two-state solution)을 지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