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더 얇게”…LG이노텍, 반도체 기판용 혁신 기술 개발 > 이용후기

본문 바로가기

Community

이용후기

“스마트폰 더 얇게”…LG이노텍, 반도체 기판용 혁신 기술 개발

작성자이성중

  • 등록일 25-06-25
  • 조회1회
  • 이름이성중

본문

인스타 좋아요

LG이노텍은 모바일용 고부가 반도체 기판에 적용되는 ‘코퍼 포스트(구리 기둥)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양산 제품 적용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기기 두께를 더 얇게 만들기 위해 경쟁 중이다. 이에 따라 모바일용 반도체 기판 성능을 고도화하면서도 크기는 최소화하는 기술 수요가 늘고 있다.
코퍼 포스트 기술의 핵심은 반도체 기판과 메인보드 연결 시 구리 기둥을 활용하는 것이다. 반도체 기판은 반도체 칩, 전력 증폭기 등 전자부품을 메인보드와 연결하는 제품이다. 납땜용 구슬인 솔더볼을 통해 메인보드와 연결돼 전기신호를 주고받는다. 솔더볼을 촘촘히 배열할수록 더 많은 회로를 연결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 성능 향상의 핵심 요소로 꼽힌다.
기존에는 반도체 기판에 솔더볼을 직접 부착해 메인보드와 연결했다. 안정적인 접합을 위해 솔더볼 크기가 커야 했고, 구 모양 구조 때문에 넓은 공간을 차지했다. 간격이 좁으면 납땜 과정에서 녹은 솔더볼이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 방식으로는 솔더볼 간격을 줄여 회로 집적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LG이노텍은 반도체 기판에 솔더볼을 직접 연결하는 대신 구리 기둥을 먼저 세우고 그 위에 솔더블을 작게 얹는 방식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솔더볼 간격을 기존 대비 약 20% 가까이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기존과 동일한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크기는 최대 20% 가량 작은 반도체 기판을 만들 수 있다. 스마트폰 제조사가 설계 자유도를 높이고 더욱 얇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셈이다. 회사는 “복잡하고 방대한 전기신호를 효율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AI 연산 등 스마트폰의 고사양 기능에도 최적화됐다”고 말했다. 구리는 납 대비 열전도율이 7배 이상 높아 반도체 패키지에서 발생하는 열을 보다 빠르게 외부로 방출한다는 이점도 있다.
LG이노텍은 코퍼 포스트 기술 확보로 글로벌 ‘무선 주파수 시스템 인 패키지(RF-SiP)’ 기판 1위 입지를 한층 더 확고히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소랑봄방펜션 kjhs2831@naver.com
경남 거제시 거제면 거제남서로 4028-2(구주소: 소랑리36-3)/사업자번호 599-42-00382(농어촌민박사업자 신고번호:거제면 20호) 대표자명: 김지안
경남 거제시 거제면 거제남서로 4028-3/사업자번호 671-34-00321(신고번호:거제면 21호) 대표자명: 김혜성
경남 거제시 거제면 거제남서로 4028-4/사업자번호 203-55-03(신고번호 : 거제면22호) 대표자명: 김영근